추수감사절을 보내며

추수감사절을 보내며

 

고현권 목사

 

미국에 와서 처음 맞이한 추수감사절 때입니다. 먼저 와서 유학생활을 하던 선배 목사님이 몇몇 후배들을 초대해주셨습니다. 잠시 후 사모님이 터키를 구웠다면서 호일을 벗겨서 보여주시는데, 표면이 노릇노릇한 것이 정말 탐스럽고 먹음직스러웠습니다. 선배 목사님이 칼로 조금 베어주셨는데, 제가 좀 더 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선배 목사님이 미묘한 웃음을 띠면서 많이 잘라주셨습니다. 잔뜩 기대를 하고 한 입 베어 물었는데, 도대체 이게 무슨 맛입니까! 그날 차마 음식을 남길 수 없어서 억지로 터키를 다 먹느라 죽을 고생을 했습니다. 그리고는 다짐했습니다. ‘내 다시는 터기 먹나 봐라!’ 그런데 이게 웬일입니까? 이상하게도 추수감사절 시즌이 다가오면, 터키가 은근히 당기는 것입니다!

 

1620년 신앙의 자유를 위해 메이 플라워호를 타고 신대륙으로 건너온 102명의 청교도들이 힘든 항해와 매서운 겨울 날씨로 인해 태반이나 죽었습니다. 그러나 인디언들의 도움으로 농사를 지어 수확한 후에 그들을 초대하여 함께 음식을 나누면서 하나님께 감사를 드린 것이 추수감사절의 기원입니다. 그러다가 1863년 링컨 대통령이 매년 11월 네 번째 주 목요일을 추수감사절로 정하고 국경일로 지정하였습니다.

 

유대인들의 3대 절기 중에 추수감사절과 유사한 절기가 바로 초막절입니다. 수확을 마무리한 유대인들은 광야로 나가서 초막을 만들어 거기서 한주간을 보냅니다. 왜 멀쩡한 집을 놔두고 그렇게 초막에서 한 주간을 지낼까요? 물론 출애굽 후에 광야에서 장막을 치고 살았던 조상들의 애환을 체험하도록 한 것도 있지만, 여기에는 보다 더 깊은 영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고 봅니다. 뜨거운 광야에서 풀과 나뭇가지로 엮은 초막은 며칠 지나면 완전히 바짝 말라버립니다. 이것을 보면서 초막에 거하던 사람들은 이 땅에서의 부귀와 즐거움은 일시적이며, 우리의 육신은 언젠가 썩어 없어질 것을 새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 결과 정함이 없는 것에 마음을 두지 말고 오직 하나님께 두는 삶을 더욱 추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추수하실 때에 우리가 어떤 모습의 알곡으로 드러날지를 묵상하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았으면 합니다.